교과목명 | 영어교과목명 | 교과목해설 |
---|---|---|
스포츠철학 역사연구 |
Studies in Sport Philosophy and History |
철학의 역사적 발달, 윤리, 사회정치 철학, 형이상학, 인식론, 논리학 등 모든 기본적인 철학적 탐구를 스포츠와 관련된 측면에 초점을 두고 연구한다. 또한 스포츠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스포츠의 현대적 의미를 조망한다. |
스포츠심리 상담연구 |
Studies in Sport Psychology and Counseling |
사회적 환경과 관련된 스포츠와 운동행동을 연구한다. 특히, 어떻게 개인의 심리적 상태가 스포츠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와 사회, 심리적 요인이 스포츠참가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상담을 통한 경기력 향상의 방법을 탐구한다. |
스포츠사회 문화연구 |
Studies of Sport in Society and Culture |
스포츠와 사회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스포츠와 사회제도, 스포츠환경 내의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스포츠와 관련된 사회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스포츠의 문화적 의미를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한다. |
스포츠사회 경영연구 |
Studies in Sport Industry and Management |
스포츠산업의 특성과 기능 그리고 교환과정을 통하여 스포츠 소비자에 부응하기 위해 구성된 모든 활동을 포함하는 스포츠경영에 관하여 연구한다. |
여가 레크리에이션 연구 |
Studies in Leisure and Recreation |
여가와 신체활동, 스포츠, 생활만족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여가의 역사, 여가관련 행위, 여가산업 등의 전망과 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및 제도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
스포츠교육 지도연구 |
Studies in Sport Pedagogy and Coaching |
다양한 스포츠 환경에서의 교수, 학습과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 및 지도 원리를 익히고, 스포츠교육 및 지도와 관련된 제반 문제를 연구한다. |
스포츠해부 ·생리연구 |
Studies in Sport Anatomy and Physiology |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체의 해부·생리학적 변화를 연구한다. 또한 훈련에 의한 심폐순환계, 근육계, 및 생화학적 적응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이 요인들이 스포츠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
운동처방 재활연구 |
Studies in Exercise Prescription and Rehabilitation |
운동처방을 위한 건강 및 신체적성 평가 방법을 이해하고 체력 및 만성질환에 대한 적절한 운동수행요법과 재활에 대해 연구한다. |
스포츠생체 역학연구 |
Studies in Sport Biomechanics |
스포츠 활동 시 발생하는 다양한 인체 동작의 역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역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체육측정 평가연구 |
Studies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
체육 및 스포츠 분야에 적용되는 측정평가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적절한 테스트 선정 및 감독법과 일련의 통계적 과정을 통한 결과의 평가 방법을 익힌다. |
운동영양 생화학연구 |
Studies in Exercise Nutrition and Biochemistry |
운동 및 스포츠 활동 시 동원되는 에너지에 대한 개념 및 각종 신체활동 내에서 이루어지는 에너지 공급 방식에 대한 내용을 영양 및 생화학적 측면에서 연구한다. |
장애인 체육연구 |
Studie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
신체적 장애 상태의 평가방법을 익히는데 초점을 두고 근육검진, 치료적 운동, 및 운동처방을 포함한 다양한 재활과정을 연구한다. |
스포츠과학 연구법 1, 2 |
Research Method of Sport Science 1, 2 |
스포츠과학의 연구방법 및 연구기법 지도에 초점을 두고 연구 과제 분석 과정 및 논문 저술 방법을 익힌다. |
논문연구1, 2 | Thesis Research 1, 2 | 스포츠과학 분야 중에서 연구 과제를 선정하여 지도교수 지도하에 부논문 및 학위논문을 준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