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과정

교과소개

교과소개
교과목명 영어교과목명 교과목해설
체육교재연구 및 지도법 Teaching Skills in
and History
체육수업의 효과적 진행과 반성적 연구를 위한 다양한 수업기술과 탐구방법들을 이해하고 실행한다.
체육교육론 STheory and Practice
in Physical Education
체육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그것을 현장에서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살펴본다.
체육학습 및
논술지도
Discourse in
Physical. Education
체육과 교육에 대한 사전 학습내용을 토대로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논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응용 능력을 학습한다.
건강교육 Health Education 현대사회의 필수적 요소인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들을 습득하고 그것을 생활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스포츠사회학 Sport Sociology 스포츠사회학의 이론적 배경과 사회체육의 실제 및 문제점을 분석·연구한다.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체육현장에서 운동생리학의 적용을 어떻게 과학적으로 하느냐의 문제를 연구한다.
운동역학 Sport Biomechanics 체육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각 운동종목의 동작원리와 방법을 분석하여 동작의 효율성 및 운동기술의 특성을 역학적 측면에서 분석·연구한다.
체육측정 및
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체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체육의 전 분야에 걸쳐 개개의 사상을 수량적으로 측정·평가한다.
운동실기 Sports Skills Teaching 각종 스포츠 종목의 운동기능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제반원리들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 지도능력을 함양한다.
운동학습 및 심리 Motor Learning and
Sport Psychology
스포츠기술의 개발과 기록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체력적인 요소도 중요하겠지만 신체의 심리적인 면을 지배하고 있는 정신적인 면과 심리적인 개발로 스포츠과학의 첨단을 이루는데 목표를 둔다.
특수체육교육 Adapted Physical Education 지체부자유아, 정신박약아 및 부적응아를 위한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필요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체육사·철학 Sport History and Philosophy 인간역사에 걸쳐 나타난 체육활동의 발전모습을 시대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에 드러난 철학적 측면의 의미들을 이해한다.
무용교육 Dance Education 무용이 갖는 교육적 차원을 이해하며 그것을 학교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목적과 방법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내용들을 학습한다.
여가레크리에이션 Leisure & Recreation 레크리에이션 이론 및 실기 충실을 기하여 일선 지도자의 자질을 육성시키는데 목표를 둔다.
체육교육과정 Curriculum in Physical Education 교육부 교육과정, 체육교과서, 체육지도서 등 문서화된 형태의 교육과정 자료들의 내용을 파악하며, 체육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개발하고 적용하는가의 과정을 연구한다.
건강운동영양학 Health and Exercise Nutrition 스포츠과학의 일환으로서 성장과 발육 또는 운동 시에 필요한 영양을 분석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해 에너지 대사, 음식물 섭취 형태에 따른 변화 등을 연구한다.
체육통계학 Statistics in Physical Education 체육학 전반에 있어서 통계적 방법의 기능 및 통계의 일반적 이론, 적용방법과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방법 등을 연구한다.
체육학연구법 Research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체육연구 분야의 세계적 동향과 과학적 방법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체육행정 및 관리 Spor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체육행정의 효과적 실천을 위한 이론적 지식을 종합적으로 다루며, 체육행정의 구체적 현실을 연구한다.
스포츠분석교육론 Sports Performance Analysis Education 학교체육 현장에서 적용되어지는 각 운동기술의 동작원리와 방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규명하고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연구한다.
운동처방교육론 Exercise Therapy Education 현대사회에 있어서 필요한 올바른 운동과 비만, 성인병 등의 예방과 더불어 치료에 필요한 운동요법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요구되는 방법 등을 익힌다.
체육진로교육 Career Development in Physical 경제성장으로 인한 체육활동 참여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스포츠 환경은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에 체육 전문 인력이 많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직업을 세분화하고 체육에 지원, 보급, 연구하는 체육활동을 배양하며 체육에 상담심리적인 능력을 접목시켜 체육의 고급인력육성과 분석기술, 예언의 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OP